학습이론에 영향을 주는 부분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여기서는 학습이론에 영향을 주는 중요 부분인 기억과 망각, 동기와 학습, 학습장애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1. 기억과 망각
기억과 망각은 학습이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중요 부분 중의 하나이다. 기억이란 학습된 경험이나 내용을 머릿속에 잘 저장하는 심리적인 과정을 의미하며 인지적 활동의 근거인 광의의 기억과 필요정보를 저장해 두는 협의의 기억이 있다. 기억의 과정의 순서는 기명, 파지, 재생, 재인, 기억으로 단계를 거쳐 기억되며 미래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기억의 종류는 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으로 구분된다. 감각기억은 후각, 청각, 시각 등 정보를 순간적으로 저장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감각기관은 몇 초 상이에 소멸된다. 감각기관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주의를 기울인 일부만이 단기기억 속으로 전이된다. 단기기억은 현재를 인식하는 기억으로 능동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며 단순기억의 정보는 시간이 경과되면서 망각될 수 있다. 장기기억은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곳으로써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감각기관과 단기기억 과정을 통해 장기기억 속에 무한한 정보가 영구적으로 저장된다. 장기기억은 단기기억 정보에 의한 시연이나 부호화에 의해 짧게는 몇 분에서 길게는 평생 동안 일상생활에서의 기억이나 의미화된 기억을 저장하는 장소이다. 기억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횟수의 시연과 분산학습, 깊게 처리하기, 개인적인 의미 부여, 시각적인 심상 형성 등으로 기억을 오래 저장할 수 있다.
망각은 학습된 기억이 시간이 흐르거나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소멸되어 재생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망각은 주의결함으로 발생하며 습득된 정보들이 서로 경합을 벌이면서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안 좋은 정보를 의도적으로 생각하지 않는 동기화된 망각이 일어나기도 한다. 따라서 망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학습된 내용에 의미를 부여하여 동기화된 학습 자료를 사용하여 완전한 습득 후 다음 단계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며 습득된 정보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집중학습 보다 분산학습, 초과학습의 반복으로 효과성을 향상할 수 있다.
2. 동기와 학습
학습에 영향을 주는 동기와 정서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정서에는 자신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벗어나 자신을 보호하는 '공포' 정서와 자신을 위협하는 자극을 공격하려는 정서인 '분노'가 있다. 이러한 정서는 대인관계의 바탕이 되기도 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면서 나타난다. 정서는 특별하다고 생각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과정이고, 어떤 상황에서의 각성이 동일하게 생길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이 동기이기 때문에 동기와 정서는 상호 연결된 개념이다.
동기와 인지 또한 동기와 정서와 마찬가지로 상호 형성에 영향을 준다. 특정한 상황으로 만들어진 동기가 특정한 인지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기도 하고, 특정한 상황으로 인하여 형성된 인지가 특정한 동기가 형성되는데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인지는 우리가 컵에 남은 물을 보고 '벌써 반이나 없어졌다.'라고 동기 좌절하는 경우와 '아직도 반이나 남아 있다'라고 판단하는 동기 충족이 있으며 인지는 동기의 상태를 결정하는데 많은 영향을 준다.
3. 학습장애
학습장애는 읽기, 쓰기, 말하기, 산수 능력 등을 활용하는 심각한 어려움을 보이는 장애를 말한다. 학습장애는 문화적 결손과는 상관없이 개인이 내재하는 지각장애, 지각-운동장애, 신경체계의 역기능 및 내손상과 같은 기본적인 정보처리 과정에서의 장애로 인하여 나타난다. 학습장애는 개인 능력 발달 단계에서 불균형이 개인 내 차이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귀인의 경향은 학생에게 주어진 과제가 어려울수록 심하게 나타난다.
학습장애 학생들은 자신의 성공을 자신이 운이 좋거나 쉬운 과제로 인한 성공이라고 귀인하고 실패는 자신의 능력 부족으로 귀인하며 이러한 귀인 현상은 과제가 어려울수록 심하게 나타난다. 학습장애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으로는 교사가 학생의 결과에 적극적으로 귀인을 소리 내어 말해주다가 점차 학생 스스로 소리 내어 말하도록 연습시킨다. 학생이 적응적으로 귀인을 말할 때마다 교사가 강화를 주다가 최종적으로는 학생이 귀인신념을 내면화하도록 한다. 요약하면 교사의 시범, 학생의 연습, 교사의 강화, 학생의 귀인신념의 내면화 방법이 효과적이다.